Aivory
[원자력기사 실기] 14년 해설 (1 ~ 4번) 본문
※ 공부하는 수험생 입장에서 원자력기사에 관한 문제 해설조차 없는게 안타까워 만들었습니다.
저도 공부하는 입장이라 잘 모르는 부분이 많습니다.
애매한 부분은 빨간색으로 표시했으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강조하고 싶은 부분은 형광색으로 표시했습니다.
혹 잘못된 부분, 더 좋은 풀이를 알고 계신 분들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원자력기사 실기, 필답형 필승전략, 기출모음
기사시험의 '꽃'이라고 한다면 단연 필답형 시험이라고 할 수 있다. 아무리 필기시험이 어렵다 한들 정답은 4개의 선지 안에 무조건 존재하게 되어있다. 고로 정 모른다면 찍어도 25% 확률로 얻어
nukidiot.tistory.com
모든 문제는 위의 블로그 게시글에서 가져왔음을 밝힙니다.
본 게시글은 PC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실기는 기본적으로 생각을 적는 것이 많습니다.
이 점 꼭 유의하시고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다른 실기 해설들은 https://aivory.tistory.com/72 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1. KERMA vs 흡수선량
KERMA(Kinetic Energy Released in MAterial) : 방사선이 운반하는 에너지의 양, 물질에 전달되는 에너지
흡수선량 : 물질에 전달되는 에너지 중 흡수된 단위질량 당 에너지
기본적으로 KERMA >= 흡수선량 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블로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흡수선량과 커마의 관계
Subject : 흡수선량(Absorbed dose)와 커마(KERMA : Kinetic Energy Released in the MAtter or medium) 일반적으로 방사선과 관련 된 방사선물리학(Radiological physics)을 공부할 때, 큰 그림을 그리는 것..
beanexpert.tistory.com
2. 유효반감기
저는 식 딱 하나만 외웁니다.
여기서 모든 식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3. 감마선 개수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1GBq의 Co60

Co60은 붕괴 한 번 당 2개의 감마선을 내보냅니다.
각각 1.173, 1.332MeV입니다.
따라서, 조건에서 기간을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초당 10^9 * 2개의 감마선을 방출합니다.
4. 방사선 인체 영향 순서
( ) -> ( ) -> ( ) -> ( )
보기 : 물리적 영향, 화학적 영향, 생화학적 영향, 생물학적 영향
제가 RI 공부할 때는 물리, 물리화학, 화학, 생물학적 효과라고 공부했던 기억이 납니다.
물리적 영향 : 방사선이 인체에 조사되면 10^-16초 이내 인체를 구성하고 있는 분자나 원자를 여기 또는 전리
물리화학적 영향 : 물리적 단계에서 만들어진 생성물들이 2차적으로 1차 유리기, 2차유리기 등을 생성하는 단계 (10^-9초)
화학적 영향 : 1차유리기, 2차유리기 등이 세포의 유기분자와 작용하여 생체고분자들과 반응해 생물분자의 불활성화 초래
(물리화학적 단계 끝나고 2 ~ 3초)
생물학적 영향 : 세포의 사멸, 기능마비, 돌연변이 등을 초래 (수 분 ~ 수 십년)
그래서 만약 생화학적 = 물리화학적 이라면
( 물리적 영향 ) -> ( 생화학적 영향 ) -> ( 화학적 영향 ) -> ( 생물학적 영향 )
'원자력기사(실기) > 실기 기출 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자력기사 실기] 14년 해설 (9 ~ 11번) (0) | 2022.10.23 |
---|---|
[원자력기사 실기] 14년 해설 (5 ~ 8번) (0) | 2022.10.22 |
[원자력기사 실기] 15년 해설 (11 ~ 15번) (0) | 2022.10.21 |
[원자력기사 실기] 15년 해설 (6 ~ 10번) (0) | 2022.10.21 |
[원자력기사 실기] 15년 해설 (1 ~ 5번) (0) | 2022.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