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vory

[원자력기사 실기] 18년 해설 (1 ~ 4번) 본문

원자력기사(실기)/실기 기출 해설

[원자력기사 실기] 18년 해설 (1 ~ 4번)

Aivory 2022. 10. 14. 17:44

※ 공부하는 수험생 입장에서 원자력기사에 관한 문제 해설조차 없는게 안타까워 만들었습니다.

저도 공부하는 입장이라 잘 모르는 부분이 많습니다.

애매한 부분은 빨간색으로 표시했으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강조하고 싶은 부분은 형광색으로 표시했습니다.

혹 잘못된 부분, 더 좋은 풀이를 알고 계신 분들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원자력기사 실기, 필답형 필승전략, 기출모음

기사시험의 '꽃'이라고 한다면 단연 필답형 시험이라고 할 수 있다. 아무리 필기시험이 어렵다 한들 정답은 4개의 선지 안에 무조건 존재하게 되어있다. 고로 정 모른다면 찍어도 25% 확률로 얻어

nukidiot.tistory.com

모든 문제는 위의 블로그 게시글에서 가져왔음을 밝힙니다.

본 게시글은 PC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실기는 기본적으로 생각을 적는 것이 많습니다.

이 점 꼭 유의하시고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다른 실기 해설들은 https://aivory.tistory.com/72 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1. 평균선출력밀도, 국부최대출력밀도

 

선출력밀도 : 봉상(棒狀) 핵연료를 사용하고 있는 원자로의 핵연료봉 단위 길이당의 출력을 선출력밀도라고 부르고 단위는 ㎾/m로 표시한다. 이 선출력밀도는 핵연료봉 중심온도의 척도가 되는 것으로서, 핵연료봉의 내부압력 상승에 의한 지르칼로이 피복관 등의 응력부하나 핵분열생성물에 의한 핵연료의 스웰링 등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최근의 발전용 경수형원자로에서의 최대 선출력밀도는 약 44 ㎾/m로 PWR과 BWR에서 거의 같다. (출처 : KNEA)

 

국부최대출력밀도는 말그대로 국부(local)에서 갖는 최대 선출력밀도입니다.

 

예전 기사 기출중에 선출력밀도를 구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원자력기사 16년 79번

한 번 풀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풀이과정은 맨 아래에 써놓겠습니다.

 

 

2. 연소도, 주기, 출력 계산

 

 

연소도 [MWD/MTU]

 

단위만 잘 기억하셔서 넣으시면 됩니다. 

 

주기, 출력

 

$$ P = P_{0}e^{\frac{t}{T}} $$

 

 

 

3. 증기발생기 열화 메커니즘 5가지

 

 

1. 박층화(Wastage) : 2차계통수 처리방식을 인산염처리 한 결과 튜브와 튜브쉬트 틈새에 화학물질이 축적,

일부 지역에서 산성조건이 발생돼 이러한 조건하에서 튜브지지판의 슬러지 축적부위에서 발생

 

2. 덴팅(Denting) : 증기발생기 틈새 내 마그네타이트(Magnetite)가 급속히 생성돼 튜브가 변형되는 현상

 

3. 응력부식균열(SCC) : 부식과 응력집중에 의해 발생

 

4. 결정입계부식 : 금속 또는 합금의 결정입계에 따라 발생하는 국부적인 부식

 

5. 점식(Pitting) : 금속 표면이 국부적으로 깊게 침식하는 형태의 부식

 

(원자력기사(4판), 김을기, 231~232p)

 

 

 

4. 증기발생기 틈새 마그네타이트 현상

 

덴팅(Denting)

 

 

 

 

풀이과정

 

$$ \frac{ 3983 \times 10^{6} \times 0.7 }{ 241 \times 236 \times 3.81 \times 100} = 128.7 [W/cm]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