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vory

[원자력기사 실기] 12년 해설 (9 ~ 12번) 본문

원자력기사(실기)/실기 기출 해설

[원자력기사 실기] 12년 해설 (9 ~ 12번)

Aivory 2022. 10. 29. 16:23

※ 공부하는 수험생 입장에서 원자력기사에 관한 문제 해설조차 없는게 안타까워 만들었습니다.

저도 공부하는 입장이라 잘 모르는 부분이 많습니다.

애매한 부분은 빨간색으로 표시했으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강조하고 싶은 부분은 형광색으로 표시했습니다.

혹 잘못된 부분, 더 좋은 풀이를 알고 계신 분들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원자력기사 실기, 필답형 필승전략, 기출모음

기사시험의 '꽃'이라고 한다면 단연 필답형 시험이라고 할 수 있다. 아무리 필기시험이 어렵다 한들 정답은 4개의 선지 안에 무조건 존재하게 되어있다. 고로 정 모른다면 찍어도 25% 확률로 얻어

nukidiot.tistory.com

모든 문제는 위의 블로그 게시글에서 가져왔음을 밝힙니다.

본 게시글은 PC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실기는 기본적으로 생각을 적는 것이 많습니다.

이 점 꼭 유의하시고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다른 실기 해설들은 https://aivory.tistory.com/72 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9. 소량냉각재상실사고(SBLOCA)시 관측되는 현상

 

 

 

원자로냉각재 상실사고 정의와 대상 - Atomic Wiki

개요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할 수 있는 원자로냉각재 상실사고(Loss of Coolant Accident; LOCA)는 원자로냉각재 재고량의 감소를 초래하는 사고로써, 이 유형사건의 대표적인 설계기준사고이다. 여기

atomic.snu.ac.kr

 

소형 파단이 일어날 경우 Small Break, 대형 파단이 일어날 경우 Large Break로 LOCA를 구분합니다.

 

RESEARCH EFFORTS FOR THE RESOLUTION OF HYDROGEN RISK, SEONG-WAN HONG 외 4명

 

https://www.researchgate.net/figure/Hydrogen-and-steam-source-in-loss-of-coolant-accident_fig10_273491830

 

위의 그림은 LOCA 발생 후 격납 용기(Containment)의 상황을 나타낸 그래프 입니다.

 

1. 격납용기 온도 상승

2. RCS 유량/압력 감소

3. 격납용기 압력 상승

 

이 정도가 아닐까 싶네요.

 

ISP 27 (BETHSY): experimental trend of primary side pressure.

https://www.hindawi.com/journals/stni/2008/814572/fig7/

 

위의 그래프처럼 1차측 압력은 감소합니다.

 

 

10. 반응도 장기 인자

 

장기적으로 반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물어보는 것 같습니다.

 

아래 블로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1.1 노심반응도 제어방법(2) [원자력기사]

1.1.1 노심반응도 제어방법 원자로 제어란 원자로 내(노심)의 반응도를 변화시키므로써 출력을 임의로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기능이다. 반응도의 제어는 앞서 간략히 살펴본 제어봉이나 붕소 등

ddaju.tistory.com

 

 

11. 핵연료 다발 구성요소/기기

 

Fuel Assembly의 구성요소를 물어보고 있습니다.

 

아래 그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Nuclear Fuel Fabrication - World Nuclear Association

Nuclear Fuel and its Fabrication (Updated October 2021) Fuel fabrication is the last step in the process of turning uranium into nuclear fuel rods. Batched into assemblies, the fuel rods form the majority of a reactor core's structure. This transformation

world-nuclear.org

 

12. 정지여유도 도시

 

정지여유도는 독물질인 Xe135와 거동이 비슷합니다.

 

https://www.nuclear-power.com/nuclear-power/reactor-physics/reactor-operation/xenon-135/iodine-135/

 

30일간 운전하다가 갑자기 정지했다면

 

Xe135는 정지 이후 일정시간 증가합니다. 핵분열 과정에서 생긴 I135가 Xe135로 붕괴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일정시간 이후에는 더 이상의 생성은 없고 Cs135로 붕괴만 합니다.

 

따라서, 아래(왼쪽)와 같은 모습을 하게 됩니다.

 

출력 급감(좌), 출력 급증(우)

 

정지여유도도 Xe135와 거동이 비슷하니 왼쪽 그래프와 비슷한 모양을 나타냅니다.

Comments